1.6.한국어의 특질
이 지구상에는 수천 개가 넘는 언어가 존재한다고 하는데, 이 언어들은 많은 공통점이 있으면서 또 한편으로는 각자의 특수성(또는 독자성)도 있다. 전자를 언어의 보편성이라 하고 후자를 개별 언어의 특수성(또는 특질)이라고 한다.
: 언어의 보편성
1) 형식(음성 형식)과 의미라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2) 말소리에 자음과모음이 있다.
3) 음운, 음절, 단어, 문장 등의 언어 단위가 있다.
4) 명사, 동사 등의 문법적 범주가 있다.
5) 긍정문과 부정문, 평서문과 의문문, 명령문 등의 구분이 있다.
* 한국어의 특수성
1) 파열음(폐쇄음에 평음, 경음, 격음(유기음)의 세 계열이 있다.
달: 딸: 탈 / 불: 뿔: 풀
ㄷ:ㄸ:ㅌ/ㅂ: ㅃㅍ
2) 어두나 음절말 위치에서 오직 하나의 자음만 발음될 수 있다.
값[갑], [늑따]
cf.spring / 까치, 빠르다
3) 교착어이다.
언어유형론: 굴절어, 교착어(첨가), 고립어
교착어: 문법형태소의 발달, 1형태소 1 기능
하시겠습니다 : 하 시 얹, 겠 습니 다
4) SOV형 언어이다.
S=subject (주어)
O = object (목적어)
Vevert(동사, 서술어)
5) 어순이 비교적 자유롭다.
조사와 어미가 발달해 있어서 어순이 바뀌더라도 의미가 달라지지 않는다.
철수가 영이를 때렸다./영이를 철수가 때렸다.
cf. John hit Marry/Marry hit John
6) 의문문에서 어순이 바뀌지 않는다.
이것이 책이다. / 이것이 책이냐?
cf. This is a book / Is this a book?
7)근간 성분(주어, 목적어)이 잘 생략되는 언어이다.
철수: 어제 뭐 했어?
영수 : 영화구경 했어.
철수: 누구랑 했어.
영수: 영남이랑 했지.
철수: 어제 그 영화관에서 용준이를 만났니?
영수 : 아니, 못 만났는데.
8) 경어법이 발달되어 있다.
주체 경어법 : 의사
상대 경어법(청자경어법)
이리오너라 / 이리 오게 / 이리 와 / 이리 오오 / 이리 오세요 / 이리 오십시오
9) 색채어가 발달되어 있다.(색채 형용사)
불그스름하다 붉다 - 벌겋다 - 뻘겋다 ㅡ 시뻘겋다
발그스름하다 - X -발갛다-빨갛다 - 새빨갛다
10) 친족 명칭이 친족 아닌 다른 사람에게도 흔히 쓰인다.
할아버지 / 할머니, 형 / 오빠, 누나 / 언니
한국어를 연구할 때는 이러한 언어의 보편성과 한국어의 특수성(특질)을 늘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한국어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와 한국어학2 (0) | 2023.05.13 |
---|---|
한국어와 한국어학1 (0) | 2023.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