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
인간은 자기의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서 말소리(음성)를 이용하기도 하고 문자를 이용하기도 한다. 여기서 음성으로 표현되는 언어를 음성 인어(spoken language)라 하고 문자로 표현되는 언어를 문자 언어(written language)라 한다. 음성 언어를 흔히 구어(II)라고 하며 문자 언어를 흔히 문어(語)라고 한다. 한국어에는 '말'과 '글'이라는 단어가 있는데 '말'은 일반적으로 음성 언어를 가리키고 '글'은 문자 언어를 가리킨다.
음성 언어는 크게 두 가지 제약을 받는다. 시간적 제약과 공간적 제약이 그것인데, 말소리는 말하는 순간 사라져 버리므로 시간적 제약을 받으며, 말소리는 또 전달될 수 있는 거리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공간적인 제약을 받는다. 음성 언어의 이러한 제약(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문자가 등장하게 되었다. 문자로 기록된 언어인 문자 언어는 그러한 제약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다. 그렇다고 문자 언어는 단점이 없느냐 하면 그렇지는 않다.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의 장·단점을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다.
* 음성 언어의 장단점
• 장점
특별한 도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정보를 빨리 전달할 수 있다.
캄캄한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단점
음성 언어는 시간적 제약과 공간적 제약을 받는다. 시간적 제약 : 말소리는 말하는 순간 사라져 버린다. 공간적 제약 : 말소리는 전달될 수 있는 거리가 한정되어 있다.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아무런 기능도 할 수 없다.
#문자 언어의 장단점
• 장점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다.
좀 더 정제되고 세련된 면이 있다.
언어의 역사적 연구는 문자언어에 의존한다.
• 단점
필기도구가 필요하다
캄캄한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기록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1.5. 한글과 한국어
한글과 한국어를 같은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한글과 한국어는 동일한 개념이 아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한글은 문자의 명칭이고 한국어는 언어의 명칭이다.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영어------------> 언어의 명칭
한글, 한자, 가나, 알파벳- -----------> 문자의 명칭
세종대왕은 한글(원래의 명칭은 '훈민정음)이라는 문자를 창제한 것이지 한국어라는 언어를 창제한 것이 아니다. 그런데 한글을 한국어와 동일한 개념으로 잘못 이해하여, 세종대왕이 문자가 아니라 한국어라는 언어를 창제한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하여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기 전에는 한국 민족이 자신의 언어도 없던 민족인 것처럼 오해하는경우가 있는 것이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기 이전부터 한국 사람들은 한국어를 사용해 왔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글과 한국어를 혼동하는 사람들은 문자인 한글의 특성을 언어인 한국어의 특성인 것처럼 오해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말은 매우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라고 하는 경우가 그런 경우이다. 한글이라는 문자에 대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라고 하는 것은 맞는 말이지만, 한국어라는 언어에 대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언어에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언어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한글과 한국어를 혼동하면 이처럼 엉뚱한 오해를 할 수 있으므로 한글과 한국어를 혼동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한국어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와 한국어학3 (2) | 2023.05.14 |
---|---|
한국어와 한국어학1 (0) | 2023.05.11 |
댓글